트랜잭션2 [Transaction] 트랜잭션이란? / 스프링 지원 - 선언형 방식 트랜잭션 (어노테이션, AOP) 트랜잭션(Transaction) 이란? : 여러개의 작업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서 처리하는 처리 단위 무조건 여러개의 작업을 그룹으로 묶는게 트랜잭션? ➡ 🙅🏻♀️Xxx! 물리적으로 여러 개의 작업이지만, 논리적으로 마치 하나의 작업처럼 인식, 전부 성공 or 전부 실패(All or Nothing) 둘 중 하나로만 처리 되어야 트랜잭션!! db, 파일, 메세지 등 전혀 다른 타입의 리소스를 하나의 작업단위로 묶어서 처리해야 할 수도 있다. 트랜잭션의 특징 - ACID 원칙 1. 원자성 (Atomicity) : 작업을 더 이상 쪼갤 수 없음 논리적으로 하나의 작업으로 인식함 ➡ All or Nothing 중 하나로만! 2. 일관성 (Consistency) : 트랜잭션 성공적 종료시, 일관성 있게 저장,.. 2022. 11. 7. [Database] 트랜잭션, ACID 란? 트랜잭션 ? -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인 연산 단위 - 트랜잭션에는 하나 이상의 SQL 문장이 포함됨 - 트랜잭션은 밀접히 관련되어 분리될 수 없는 한 개 이상의 DB조작을 가리킴 (= 여러개의 작업을 하나로 묶은 실행 유닛) - 분할할 수 없는 최소단위이므로 -> 전부 적용하거나, 전부 취소해야 함 (= 성공 or 실패 두 개의 결과만 존재함) ACID ? 데이터베이스 트랜젝션이 발생할 때, 그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성질 원자성 (Atomicity) 일관성(Consistency) 고립성(Isolation) 지속성(Durability) 원자성(Atomicity) 트랜잭션의 연산은 모두 적용되던지, 아니면 전혀 실행되지 않은 상태여야함 (= 모든 연산이 성공 or 모두 실패) ex) 한 트랜잭션 안에 1.. 2022. 10. 5. 이전 1 다음